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250317 알테오젠,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(ALT-B4)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체결!

728x90
반응형

https://dart.fss.or.kr/dsaf001/main.do?rcpNo=20250317900376

 

알테오젠/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/2025.03.17

    ☞ 본 공시사항은 [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] 소관사항입니다.

dart.fss.or.kr

 

 

🔹 계약 개요

바이오 기업 **알테오젠(Alteogen)**이 글로벌 제약사 AstraZeneca의 자회사 MedImmune, LLC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(ALT-B4) 원천 기술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. 이 계약을 통해 AstraZeneca는 ALT-B4 기술을 활용하여 항암 치료제의 피하주사제형(subcutaneous, SC)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할 예정이다.


🔹 계약 주요 내용 및 조건

📌 1. 계약 상대방

  • MedImmune, LLC (AstraZeneca의 자회사)
  • AstraZeneca는 2023년 매출 540억 73백만 달러(약 72조 원)을 기록한 글로벌 제약사

📌 2. 계약 기간

  • 2025년 3월 17일부터 시작하여, 판매 로열티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

📌 3. 계약금 및 수익 구조
총 계약금액:

  • 최대 6억 달러(약 8,728억 원)
  • 단, 일부 금액은 조건부 지급 (마일스톤 방식)

세부 금액 내역:

  1. 계약금 (Upfront Payment)
    • 계약 체결 시 지급되는 금액: 2,000만 달러(약 291억 원)
    • 계약 효력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(2025년 4월 16일 이전) 지급 예정
  2. 마일스톤 (Milestone Payments) - 최대 5억 8천만 달러(약 8,438억 원)
    • ALT-B4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임상시험, 품목허가, 상업화 진행 단계별로 지급
    • 하지만 임상 실패, 규제 승인 실패, 판매 실적 부진 등의 경우 지급되지 않을 수도 있음
  3. 판매 로열티 (Sales Royalty) - 별도
    • ALT-B4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시장에 출시된 후, 순매출의 일정 비율을 알테오젠이 로열티로 지급받음
    • 로열티 비율은 명시되지 않았으며, 판매량에 따라 수익이 결정됨

📌 4. 계약 조건 및 투자 유의사항

  • 이 계약은 조건부 계약으로, 계약 체결만으로 즉시 모든 수익이 확정되는 것이 아님.
  • 의약품 규제기관(예: FDA, EMA)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계약이 본격적으로 이행됨.
  • 임상시험 실패, 품목허가 실패, 개발 중단 등의 경우 계약이 해지될 가능성이 있음.
  • 계약상대방(AstraZeneca)의 편의, 중대한 계약 위반, 또는 지급불능 등의 사유로 계약이 조기 종료될 수도 있음.
  • 하지만 이미 수취한 계약금, 마일스톤, 판매 로열티에 대해 반환 의무는 없음 (즉, 계약금 2,000만 달러는 돌려줄 필요 없음).

📌 5. 환율 적용 및 원화 환산 금액

  • 모든 금액은 **2025년 3월 17일 서울외국환거래소 고시환율(1,454.8원/USD)**을 적용하여 원화로 환산됨.
  • 환율 변동에 따라 원화 환산 금액은 달라질 수 있음.

📌 6. 공시 관련 사항

  • 본 계약 내용은 2025년 3월 15일 한국시간 기준으로 확인되었으며, 공시 유보기한은 계약 종료일까지임.

🔹 계약의 의미와 전망

알테오젠의 성장 기회

  • 이번 계약을 통해 알테오젠은 글로벌 제약사인 AstraZeneca와 협업하며, 자체 개발한 히알루로니다제 기술(ALT-B4)의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대하게 됨.
  • 피하주사제형 기술은 항암제, 면역치료제, 희귀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음.
  • 이미 글로벌 바이오 기업들이 피하주사제형 기술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, 알테오젠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.

리스크 요인

  • ALT-B4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최종적으로 상업화에 성공할지 여부가 불확실함.
  • 계약은 체결되었지만, 임상시험이 실패하거나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지 못하면 추가적인 마일스톤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음.
  • 판매 로열티를 통해 장기적인 수익을 확보할 가능성이 있지만, 제품이 시장에서 성공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있음.

바이오 업계에서 흔한 구조

  • 이번 계약 구조(선급금 + 마일스톤 + 로열티)는 바이오 기술이전 계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.
  • 초기에는 일정 금액(계약금)만 지급하고, 나머지는 제품이 성공적으로 개발되고 상업화될 때마다 추가 지급하는 구조임.
  • 따라서 이번 계약이 알테오젠의 안정적인 수익원이 될지는 향후 임상 및 상업화 성과에 달려 있음.

 

 

 


#계약금액 (Total Contract Value, TCV)

계약금액은 계약을 통해 한쪽이 다른 쪽에게 지급하는 총금액을 의미해. 바이오 산업에서 계약금액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.

  • 선불금 (Upfront Payment): 계약 체결 시 즉시 지급되는 금액으로, 기술이전이나 공동 연구에서 초기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 지급됨.
  • 마일스톤 지급금 (Milestone Payments): 특정 개발 단계(임상시험, 규제 승인 등)에 도달할 때마다 지급되는 금액.
  • 로열티 (Royalties): 제품이 상업적으로 판매될 경우, 판매 금액의 일정 비율을 지급하는 방식.
  • 기타 옵션 수익: 추가적인 연구개발, 제조, 판매와 관련된 금액이 포함될 수도 있음.

#마일스톤 (Milestone)

마일스톤은 바이오 계약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지급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. 이는 신약 개발이 장기적인 과정이기 때문에, 리스크를 분산하고 계약 당사자 간의 동기부여를 위해 사용됩니다.

📌 마일스톤의 종류

  1. 개발 마일스톤 (Development Milestones)
    • 신약 후보 물질이 임상 1상 진입 시 지급
    • 임상 2상 성공 시 지급
    • 임상 3상 시작 혹은 성공 시 지급
  2. 규제 마일스톤 (Regulatory Milestones)
    • FDA, EMA 등 승인 신청 (NDA/BLA 제출) 시 지급
    • 판매 승인 획득 시 지급
  3. 상업화 마일스톤 (Commercial Milestones)
    • 제품 출시 후 일정 매출 초과 시 지급 (예: 연매출 1억 달러 돌파)
    • 특정 국가에서 출시될 때마다 지급
  4. 기타 연구개발 마일스톤
    • 특정 바이오마커 발견
    • 신규 적응증 추가 성공 등

3. 계약금액과 마일스톤의 관계

  • 총 계약금액(TCV)은 선불금 + 마일스톤 + 로열티를 포함한 전체 금액이지만, 실제로 모든 금액이 지급되는 것은 아닙니다.
  • 마일스톤 지급은 "조건부"라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지급되지 않음.
  • 따라서 계약금액이 "최대 10억 달러"라고 해도, 모든 마일스톤을 달성해야 이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일반적으로 초기 계약금(선불금)은 적고, 후반부 성공 여부에 따라 수익이 커지는 구조를 가집니다.

4. 실제 계약 예시

예제: 바이오 기술이전 계약 (Licensing Deal)

  • 총 계약금액: 10억 달러
    • 선불금: 1억 달러
    • 개발 마일스톤: 4억 달러 (임상 1상, 2상, 3상 성공마다 지급)
    • 규제 마일스톤: 2억 달러 (FDA 승인, EMA 승인 등)
    • 상업화 마일스톤: 3억 달러 (연 매출 5억, 10억, 20억 달러 돌파 시 지급)
    • 로열티: 판매액의 10%

👉 하지만 모든 마일스톤이 달성되지 않으면 총 10억 달러를 받을 수 없는 구조!

 

 

반응형